맨위로가기

베트남 민주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1945년 9월 2일 호치민이 독립을 선언하며 수립된 국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통치와 응우옌 왕조를 대체했다. 1946년부터 1954년까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치렀으며,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단되어 북베트남을 통치했다. 이후 베트남 전쟁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 후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통일되었다.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채택하고 소련의 헌법을 본뜬 헌법을 가졌으며, 토지 개혁과 집단 농장화를 추진했다. 외교적으로는 공산권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서방 국가들과는 제한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북베트남 - 통킹
    통킹은 베트남 북부 지방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역사적으로 하노이를 일컫던 '동낀'에서 유래했으며, 프랑스 식민 시대에는 프랑스 보호령 통킹으로 불리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였고, 홍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쌀 생산이 풍부한 아열대 기후 지역이다.
  • 북베트남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호찌민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와 베트민 사이에 벌어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저항한 베트민의 독립 투쟁으로,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트민의 승리 후 제네바 협정으로 베트남이 분단되고 프랑스의 식민 지배가 종식되었으나 베트남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 호찌민 - 팜반동
    팜반동은 베트남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초대 총리로, 호찌민의 지도 아래 인도차이나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베트남 독립과 통일에 기여하고, 32년간 총리직을 역임하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베트남 민주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북베트남 국기 (1955–1976)
국기 (1955–1976)
공식 명칭월남 민주 공화국(Việt Nam Dân chủ Cộng hòa)
한자 표기월남 민주 공화(越南民主共和)
통칭북베트남
표어독립 – 자유 – 행복(Độc lập – Tự do – Hạnh phúc)
국가진군가(Tiến Quân Ca)
수도하노이
공용어베트남어
종교국가 무신론
통화
정치
정치 체제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자베트남 노동당 서기장
국가 주석
총리
서기장쯔엉찐(1945–1956)
호찌민(1956–1960)
레주언(1960–1975)
국가 주석호찌민(1945–1969)
똔득탕(1969–1975)
총리호찌민(1945–1955)
팜반동(1955–1975)
입법부국회
역사
주요 사건8월 혁명(1945년 8월 19일)
바오다이 황제 퇴위(1945년 8월 25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 독립 선언(1945년 9월 2일)
중국-베트남 분쟁 (1945-1946)(1945년 8월 21일 - 1946년 6월 15일)
1946년 북베트남 입법부 선거(1946년 1월 6일)
호-생테니 협정(1946년 3월 6일)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년 12월 19일)
제네바 협정(1954년 7월 22일)
베트남 전쟁(1955년 11월 1일)
호찌민 사망(1969년 9월 2일)
파리 평화 협정(1973년 1월 27일)
통일(1975년 4월 30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1976년 7월 2일)
건국1945년
멸망1976년
선행 국가베트남 제국
후행 국가베트남
면적
면적157,880 km²
면적 측정 시기1955년
인구
1945년약 2천만 명
1955년16,100,000명
1968년18,700,000명
1974년23,800,000명
경제
GDP (PPP)41억 1,300만 USD (1960년)
1인당 GDP (PPP)51 USD (1960년)
기타
ISO 3166 코드VD

2. 역사

2. 1. 명칭

"베트남"(비엣남/Việt Namvi)이라는 명칭은 1804년 자롱 황제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고대에 사용되었던 "남월"(南 越, '남쪽 월')의 변형이다.[21] 1945년, 국가의 공식 명칭은 "베트남"으로 다시 변경되었다.[23]

2. 2.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 (1945)

1945년 9월 2일 바딘 광장에서 독립을 선언하는 호치민


1945년 8월 혁명 당시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 밖에서 열린 베트민 집회


1883년 이후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던 베트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0년 이후 일본의 점령 하에 놓였다. 1945년 9월 2일 일본이 항복한 직후, 8월 혁명의 베트민은 하노이에 진입했고, 1945년 9월 2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선포되어 호찌민이 독립을 선언하고 프랑스 통치와 응우옌 왕조를 대체하는 새로운 정부를 수립했다.[24]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인도차이나에 대한 프랑스 통치 복귀를 반대했고, 미국은 이 시기에 베트민을 지지했다.[25]

1946년 북베트남 정부


1945년 8월 16일, 호치민은 떤 짜오에서 전국 대회를 조직했다. 대회에서는 베트민의 10대 정책을 채택하고, 베트남 국기를 선정하고, 국가를 선택하고, 호치민이 이끄는 임시 혁명 정부가 된 베트남 해방 민족 위원회를 선정하는 등 총봉기 명령을 통과시켰다.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베트남 전체를 주장했지만, 이 시기 남부 베트남은 심각한 정치적 혼란에 빠져 있었다. 프랑스 세력과 일본 세력의 연이은 붕괴 이후, 사이공의 정치 세력 간의 갈등이 시골 지역의 광범위한 폭력 사태와 함께 발생했다.[26][27] 1945년 9월 12일, 최초의 영국군이 사이공에 도착했고, 1945년 9월 23일 프랑스군은 경찰서, 우체국 및 기타 공공 건물을 점령했다. 북부 베트남의 중요한 정치적 사실은 중국 국민당군이 점령하고 있다는 것이었고, 중국의 존재는 호치민과 베트민이 중국이 지원하는 베트남 민족주의자들을 수용하도록 강요했다.

2. 3.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1954)

인도차이나 전쟁 중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국기


호치민(오른쪽 앉음)과 톤득탕(왼쪽 앉음) 그리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중 북부 베트남 해방구의 다른 베트남 민주공화국 지도자들


하이퐁 사건과 퐁텐블로 협정의 악화 이후, 프랑스는 하노이를 재점령했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54)이 발발했다. 이 기간 동안 많은 도시 지역이 프랑스 통제하에 들어갔다. 일본군이 항복하여 베트남 제국이 붕괴되자, 베트남은 연합군의 점령하에 들어갔다.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먼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북부에는 중화민국군이, 남부에는 영국군이 진주했다. 중화민국군의 지배하에서, 베트민은 베트남 국민당 등과의 연립 내각을 조직하고 있었으며, 다음 해 1946년의 총선거 후에도 이를 유지했다. 그러나 남부에서는 영국군을 대신하여 구 식민지를 재지배하려는 프랑스군이 재진주했고, 1945년 9월 말에는 사이공의 지배권을 탈취함으로써, 베트민과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베트민은 프랑스와의 협상에 의한 해결을 시도하여, 1946년 3월에는 프랑스 연합 내에서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하지만, 인도차이나 일대의 재지배를 꾀하는 프랑스 정부는 베트남이 공산주의 국가로 독립하는 것을 거부하고, 코친차이나 공화국의 수립 등 다양한 형태로 분리 공작을 펼쳤다. 그 때문에, 월불 쌍방이 품은 의견의 차이는 해결되지 않고, 같은 해 12월에 하노이에서 양군이 충돌함으로써,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했다.

개전 초에는 프랑스군이 우세했다. 하지만, 산악 지대에 숨어 군대를 조직한 베트민은, 프랑스군과의 전력 차를 고려하여 게릴라전으로 대항했다. 이 때, 일본군 병사 일부도 잔류 일본군으로서 베트민 군에 참가했다. 중국 공산 혁명(1946-50) 이후, 1949년 중국 공산군이 국경에 도착했다. 중국의 지원으로 베트민의 운명이 되살아났고, 베트민은 게릴라 민병대에서 정규군으로 변모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의 발발은 반식민지 투쟁이었던 것을 냉전의 전장으로 바꾸었고, 미국은 프랑스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다.

전쟁의 장기화에 직면한 프랑스는 1949년 6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대신하는 베트남인 국가로서 베트남국을 사이공에 성립시키고, 국가 승인했다. 베트남국이 미국, 영국으로부터도 국가 승인을 받은 데 반해, 1950년에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소련형 사회주의국가인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국가 승인을 받고, 양국으로부터의 원조를 받으면서 항전을 계속했다. 이렇게 이 전쟁은 냉전의 체제 경쟁이라는 측면도 가지게 되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장기화는, 전쟁에 지친 프랑스 국민의 염전 감정을 높였다. 그 때문에, 프랑스 정부는 전쟁 종결을 위해, 1954년4월부터 제네바 회담을 시작했다. 그리고, 디엔비엔푸 요새 함락을 계기로, 1954년 7월 21일에 제네바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협정에 의해, 베트남의 국토는 북위 17도선으로 남북으로 분할되어, 북베트남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남베트남을 베트남국이 (1955년까지)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영구적인 분할을 피하기 위해, 1956년에 재통일을 위한 전국 선거를 실시하는 것도 결정되었다.

2. 4. 제네바 협정과 분단 (1954)

1954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종전 후 제네바 회담을 통해 체결된 제네바 휴전 협정에 따라 베트남은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단되었다.[44] 북쪽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남쪽은 베트남국이 통치하게 되었으며, 1956년에 재통일을 위한 전국 선거를 실시하는 것이 결정되었다.[44]

1954년 제네바 협정 이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분리한 벤하이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의 북쪽에서 본 모습.


일본군이 항복하여 베트남 제국이 붕괴되자, 베트남은 연합군의 점령하에 들어갔다.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먼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북부에는 중화민국군이, 남부에는 영국군이 진주했다. 중화민국군의 지배하에서, 베트민은 베트남 국민당 등과의 연립 내각을 조직하고 있었으며, 1946년의 총선거 후에도 이를 유지했다. 그러나 남부에서는 영국군을 대신하여 구 식민지를 재지배하려는 프랑스군이 재진주했고, 1945년 9월 말에는 사이공의 지배권을 탈취함으로써, 베트민과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베트민은 프랑스와의 협상에 의한 해결을 시도하여, 1946년 3월에는 프랑스 연합 내에서의 독립이 인정되었다. 하지만, 인도차이나 일대의 재지배를 꾀하는 프랑스 정부는 베트남이 공산주의 국가로 독립하는 것을 거부하고, 코친차이나 공화국의 수립 등 다양한 형태로 분리 공작을 펼쳤다. 그 때문에, 월불 쌍방이 품은 의견의 차이는 해결되지 않고, 같은 해 12월에 하노이에서 월불 양군이 충돌함으로써,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했다.

1954년 10월 9일 프랑스군의 철수 후 하노이로 돌아가는 베트민 군대.


개전 초에는 프랑스군이 우세했다. 하지만, 산악 지대에 숨어 군대를 조직한 베트민은, 프랑스군과의 전력 차를 고려하여 게릴라전으로 대항했다. 이 때, 일본군 병사 일부도 잔류 일본군으로서 베트민 군에 참가했다. 전쟁의 장기화에 직면한 프랑스는 1949년 6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대신하는 베트남인 국가로서 베트남국을 사이공에 성립시키고, 국가 승인했다. 베트남국이 미국, 영국으로부터도 국가 승인을 받은 데 반해, 1950년에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소련형 사회주의국가인 소비에트 연방과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국가 승인을 받고, 양국으로부터의 원조를 받으면서 항전을 계속했다. 이렇게 이 전쟁은 냉전의 체제 경쟁이라는 측면도 가지게 되었다.

분단과 함께 미국이 주도한 자유로의 통행 작전으로 100만 명 이상의 북베트남 주민이 남베트남으로 이주했으며,[36] 북베트남 가톨릭 신자 100만 명 중 약 60%가 남쪽으로 탈출한 것으로 추정된다.[37][38][39]

2. 5. 베트남 전쟁 (1955-1975)

1955년 남베트남에서 고딘 디엠 정권이 반공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독재와 탄압을 강화하자, 이에 반발한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베트콩)이 결성되어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1960년 베트남 노동당은 남베트남 해방과 사회주의 건설을 목표로 베트콩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초, 북베트남은 호찌민 루트를 통해 베트콩에게 물자와 인력을 지원했다. 미국은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를 설치하고 군사 고문단을 파견하는 등 남베트남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확대했다. 1964년 통킹 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1965년부터 북베트남에 대한 북폭을 개시하고 본격적으로 베트남 전쟁에 개입했다. 북베트남은 소련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군사 지원을 받아 베트남 인민군의 남베트남 파병을 본격화했다.

1968년 테트 공세는 미국 내 반전 운동을 격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969년 호찌민 사망 이후, 레쯩이 권력을 승계했다. 같은 해,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가 수립되어 남베트남 내 반정부 세력의 건재함을 과시했다.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으로 미군이 철수했지만, 1975년 북베트남은 총공세를 감행하여 4월 30일 사이공을 점령하고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켰다.

2. 6. 베트남 통일 (1976)

1975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 이후,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베트콩'')는 북베트남군과 함께 남베트남을 통치했다. 그러나 이는 북베트남의 속국 정부로 여겨졌다.[45][46][47]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은 1976년 7월 2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공식 통일되었다. 통일 국가는 북베트남 출신들이 주도했으며, 북베트남의 헌법, 국기, 국가를 채택했다.

베트남 전쟁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크메르 루주(캄보디아)와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베트남은 주변국 위협에 대응해야 했다. 노동당은 국내 체제 안정을 위해 재통일 계획을 서둘러 통일 선거를 실시, 1976년 7월 2일 남북 베트남의 재통일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선언했다. 구 베트남 공화국 정부 관계자들의 "재교육", 남베트남의 사회주의화(행정, 관료 조직 재편 및 기업 국영화)가 빠르게 진행되었고, 통일 베트남 정부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보트피플로서 국외로 탈출했다(인도차이나 난민).

3. 정치

3. 1. 헌법

북베트남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념을 가진 국가였으며, 이오시프 스탈린의 1936년 소련 헌법을 본뜬 헌법을 채택했다.[48]

3. 2. 행정 구역

미국 정부가 제작한 북베트남의 행정 구역 지도에서 자치구역을 표시함.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행정 단위는 다음과 같다.

  • 국가는 성(省, 베트남어: tỉnh/省), 자치구(自治區, 베트남어: khu tự trị/自治區), 중앙 직할시(中央直轄市, 베트남어: thành phố trực thuộc trung ương/城庯直屬中央)로 나뉜다.
  • 성은 현(縣, 베트남어: huyện/縣), 시(市, 베트남어: thành phố/城庯), 읍(邑, 베트남어: thị xã/市社)으로 나뉜다.
  • 현은 사(社, 베트남어: xã/社)와 읍(베트남어: thị trấn/市鎭)으로 나뉜다.
  • 자치구의 행정 단위는 법정이다.


북베트남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역을 모델로 하여 유사한 ''자치구역''(베트남어: ''Khu tự trị'') 제도를 수립했다.[49][50][51] 이 정책은 소수 민족의 전통적인 분리주의를 인정하여 하노이의 통제를 받아들이는 대가로 자치를 부여했다.[52] 자치구역들은 1955년부터 존재했으나,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베트남 공화국이 통합된 후에는 유지되지 않았고, 1978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49]

북베트남에는 타이-메오 자치구역, 비엣박 자치구역, 라오-하-옌 자치구역 등이 있었다.[49]

4. 외교 관계

베트남 민주공화국은 수많은 자본주의 국가들과 반공주의 국가들로부터 외교적으로 고립되었는데, 이들 국가는 남베트남의 반공주의 정부만을 승인했다.

1960년부터 북베트남 정부는 남베트남을 합병하고 베트남을 공산당 아래 통일하려는 시도로, 대리 세력인 베트콩을 통해 베트남 공화국과 전쟁을 벌였다.[58] 북베트남과 베트콩의 병력과 물자는 호치민 루트를 따라 이동했다. 1964년 미국은 남베트남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전투 병력을 남베트남에 파견했지만, 1950년부터 군사 고문을 파견하고 있었다.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태국, 뉴질랜드 등 다른 국가들도 남베트남의 전쟁 노력에 병력과 군사 원조를 제공했다. 중국, 북한, 소련은 북베트남의 군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원조와 병력을 제공했다. 이것은 베트남 전쟁 또는 베트남 자체에서는 '미국 전쟁'(1955–75)으로 알려졌다. 남베트남의 베트콩 외에도, 다른 공산주의 반란 세력들이 프랑스 식민지였던 인도차이나의 일부였던 인접 라오스 왕국크메르 공화국에서도 활동했다. 이들은 각각 파테트 라오와 크메르 루즈였다. 이 반란 세력들은 북베트남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북베트남은 이들과 함께 싸우기 위해 병력을 파견했다.

4. 1. 공산권 국가와의 관계

베트남 민주공화국(북베트남)은 소련,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쿠바 등 대부분의 공산주의 국가들로부터 승인을 받았고, 이들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았다.[53] 동구권 및 중앙 아시아의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도 외교 관계를 맺었다. 알바니아, 불가리아, 벨라루스 S.S.R., 체코슬로바키아, 동독,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S.S.R. 등이 이에 해당된다. 1957년 동베를린 근처에서 동독 소년 개척자들과 함께 있는 호치민의 모습과 같은해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방문한 호치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 대표단의 모습은 이러한 관계를 보여준다.

1957년 동베를린 근처에서 동독 소년 개척자들과 함께 있는 호치민


1957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방문한 호치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 대표단


북베트남은 1950년부터 1957년까지 유고슬라비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지 않았는데, 이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대한 소련의 입장을 존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53] 북베트남 관리들은 관계 수립 후에도 티토에 대해 계속 비판적이었다.[53]

인도와 같은 일부 비동맹 국가들도 북베트남을 승인했다. 다만, 대부분 알제리를 제외하면, 북베트남에 ''de jure''(정식) 승인보다는 ''de facto''(사실상) 승인을 했다.[54] 알제리의 경우, 알제리 전쟁 당시 북베트남이 알제리에 비밀리에 무기를 이전하면서 양국 관계가 더욱 밀접해졌고, 알제리는 비동맹 운동의 1973년 정상 회담에서 회원국들에게 북베트남과 PRG를 지원할 것을 촉구하는 초안 결의안을 제출하기도 했다.[55]

4. 2. 비동맹 국가와의 관계

인도, 알제리 등 일부 비동맹 국가들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승인했다.[54] 인도와 같은 대부분의 국가들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de jure''(정식) 승인보다는 ''de facto''(사실상) 승인을 했다.[54] 알제리의 경우, 알제리 전쟁 당시 베트남 민주 공화국이 알제리에 비밀리에 무기를 이전하면서 양국 관계가 더욱 밀접해졌으며, 알제리는 비동맹 운동의 1973년 정상 회담에서 회원국들에게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PRG를 지원할 것을 촉구하는 초안 결의안을 제출했다.[55]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국제 관계
지역국가
아시아 (5)마오쩌둥 시대의 중국, 인도, 이라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몽골, 시리아, 남예멘
아프리카 (3)알제리, 콩고, 리비아



1973년 당시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을 승인한 국가들

4. 3. 서방 국가와의 관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남베트남의 반공주의 정부만을 승인한 많은 자본주의 국가들과 반공주의 국가들로부터 외교적으로 고립되었다. 그러나 1969년 스웨덴이 서방 국가 중 최초로 북베트남을 정식으로 승인했다. 1970년대에 오스트레일리아, 프랑스 등 다른 서방 국가들도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거나 재개했다.

4. 4. 일본과의 관계

1954년부터 1973년까지 일본과 베트남 민주공화국 사이에는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없었지만, 민간 차원의 교류는 있었다. 1955년 3월 일본 일-베트남 우호 협회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8월에는 일-베트남 무역 협회가 설립되었다.[59] 1965년에는 양국 간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베트남 민주공화국 측에 베트남-일본 우호 협회가 설립되었다.[59]

1973년 9월 21일, 프랑스 파리에서 양국은 "일본과 베트남 민주 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 수립에 관한 각서 교환"에 서명하여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59] 이 문서에는 주프랑스 일본 대사 나카야마 요시히로와 주프랑스 북베트남 임시 대리 대사 보 반 승이 서명했다.[59]

1973년 9월 21일 프랑스 파리에서 서명된 일본과 북베트남 간의 공식 양자 관계 수립에 관한 문서.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일본에 제2차 세계 대전 배상금으로 미국 4천 5백만 달러에 해당하는 금액을 "경제 협력" 보조금 형태로 요구했고, 일본은 이를 2년에 걸쳐 분할 지급했다.[60] 1975년 10월 11일 하노이에 일본 대사관이 개설되었다.[60]

1973년부터 1975년 사이에 양국 정부는 20번이 넘는 회담을 가졌고, 1975년 10월 6일 일본은 135억 일본 엔 상당의 기금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59] 이 중 85억 엔은 일본 기업의 중장비 농지 경작 기계 및 공공 사업 구매에 사용될 예정이었다.[59] 외교 관계 재개 후인 1975년, 일본은 하노이에, 북베트남은 도쿄에 대사관을 개설했다.[59]

4. 5. 남베트남과의 관계

1960년부터 북베트남 정부는 남베트남을 합병하고 베트남을 공산당 아래 통일하려는 시도로, 대리 세력인 베트콩을 통해 베트남 공화국과 전쟁을 벌였다.[58] 북베트남과 베트콩의 병력과 물자는 호치민 루트를 따라 이동했다. 1964년 미국은 남베트남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전투 병력을 남베트남에 파견했지만, 1950년부터 군사 고문을 파견하고 있었다. 호주, 대한민국, 태국, 뉴질랜드 등 다른 국가들도 남베트남의 전쟁 노력에 병력과 군사 원조를 제공했다. 중국, 북한, 소련은 북베트남의 군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원조와 병력을 제공했다. 이것은 베트남 전쟁 또는 베트남 자체에서는 '미국 전쟁'(1955–75)으로 알려졌다. 남베트남의 베트콩 외에도, 다른 공산주의 반란 세력들이 프랑스 식민지였던 인도차이나의 일부였던 인접 라오스 왕국크메르 공화국에서도 활동했다. 이들은 각각 파테트 라오와 크메르 루즈였다. 이 반란 세력들은 북베트남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북베트남은 이들과 함께 싸우기 위해 병력을 파견했다.

5. 경제

5. 1. 토지 개혁

토지 개혁은 베트민과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1953년 12월 4일의 베트민 토지 개혁법은 정권의 적이었던 지주들의 토지 몰수, 적이라고 판단되지 않은 지주들로부터의 토지 징발, 채권 지급을 통한 구매를 요구했다.[61] 토지 개혁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일부 농업 지역에서는 임대료 감면만 이루어졌고, 소수 민족이 점유한 고지대는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일부 토지는 정부가 보유했지만, 대부분은 베트민 전사들과 그 가족에게 우선적으로 무상으로 분배되었다.[61]

이 프로그램은 가난하고 토지가 없는 소작농에게 많은 토지를 분배하고 지주(địa chủ)와 부유한 농민의 토지 소유를 줄이거나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63] 그러나 이 프로그램은 주로 때로는 잘못된 지주로 식별된 대지주들을 대상으로 한 폭력과 억압으로 수행되었다.[64] "반동적이고 악한 지주"로 분류된 사람들의 처형과 투옥은 토지 개혁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고려되었다. 1953년 5월 4일자 정치국 문서에는 계획된 처형이 "총 인구의 1,000명당 1명의 비율로 원칙적으로 고정"되었다고 명시되어 있다.[65] 실제로 처형된 사람의 수는 다양하게 추정되었으나,[66] 당시 북베트남에 거주하던 헝가리 외교관들의 문서는 최소 1,337명의 처형을 증명한다.[67]

1956년 초, 북베트남은 토지 개혁을 종식하고 저질러진 실수와 피해를 바로잡기 위한 "오류 수정"을 시작했다. 1956년 8월 18일, 북베트남 지도자 호치민은 사과하고 정부가 토지 개혁에서 저지른 심각한 오류를 인정했다.[73] 토지 개혁의 과도한 행위에 항의하는 심각한 폭동이 1956년 11월에 발생하여 1,000명의 사망자 또는 부상자가 발생하고 수천 명이 투옥되었다.[74] 1958년까지 오류 수정 캠페인은 토지 개혁으로 피해를 입은 많은 사람들에게 토지를 반환하는 결과를 가져왔다.[73]

5. 2. 집단 농장화

베트남 민주 공화국 정부의 토지 개혁 프로그램의 목표는 농지를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농민을 협동조합으로 조직하여 토지와 기타 농업 생산 요소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사용하는 것이었다.[75]

1953~1956년 토지 개혁 이후, 첫 단계로 정부는 농민들이 노동을 교환하기 위해 연합하는 노동 교환을 장려했다. 두 번째 단계는 1958년과 1959년에 농민들이 생산에 협력하는 "저단계 협동조합"의 결성이었다. 1961년까지 농민의 86%가 저단계 협동조합의 회원이었다. 1961년에 시작된 세 번째 단계는 토지와 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고단계 협동조합"을 조직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토지의 개별 소유가 없는 집단 농업이었다.[76] 1971년까지 북베트남 농민 대부분이 고단계 협동조합으로 조직되었다. 베트남 통일 이후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집단 농장은 점차 폐지되었다.[77]

참조

[1] 간행물 La situation démographique du Viêt Nam https://www.persee.f[...] 1995
[2] 웹사이트 The Manpower Situation in North Vietnam https://www.intellig[...] 1968-01
[3] 서적 Economic growth around the worl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Statistical Tables. Part 1.
[4] 서적 Fledgling Financial Markets in Vietnam's Transition Economy, 1986–2003 https://books.google[...] 2004
[5] 웹사이트 Sapeque and Sapeque-Like Coins in Cochinchina and Indochina (交趾支那和印度支那穿孔錢幣) https://issuu.com/je[...] 2016-04-20
[6] 웹사이트 'Ho Chi Minh and the Communist Movement in Indochina, A Study in the Exploitation of Nationalism' http://www.vietnam.t[...] 2014-03-04
[7] 서적 Naissance d'un État-Parti: Le Viêt Nam depuis 1945 https://www.lesindes[...] Les Indes savantes 2004
[8] 서적 Naissance d'un État-Parti: Le Viêt Nam depuis 1945 Les Indes savantes 2004
[9] 서적 Dynamics of the Cold War in Asia: Ideology, Identity, and Culture Palgrave Macmillan
[10] 서적 The Vietnam War Reexamined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1] 서적 Disunion: Anticommunist Nationalism and the Making of the Republic of Vietnam https://uhpress.hawa[...]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22
[12]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Cessation of Hostilities in Vietnam, 20 July 1954 https://www.mtholyok[...] 2015-10-22
[13]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Cessation of Hostilities in Vietnam, July 20, 1954 https://www.mtholyok[...] 2015-10-22
[14] 문서 Lời tuyên bố truyền thanh của Thủ tướng Chánh phủ ngày 16-7-1955 về hiệp định Genève và vấn đề thống nhất đất nước
[15] 서적 Vietnamese Communists'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Second Indochina War (1956–62) https://books.google[...] McFarland
[16] 문서 Karnow
[17] 문서 Tucker
[18] 서적 Maoism: A Global History 2019
[19] 웹사이트 Vietnam – The Economy https://countrystudi[...]
[20] 뉴스 Author Tim O'Brien, voice of the Vietnam War experience, slated to speak in Peters https://www.post-gaz[...] 2018-11-03
[21] 서적 Vietnam: A Global Studies Handbook https://archive.org/[...] ABC-CLIO
[22] 서적 Empire, Colony, Genocide: Conquest, Occupation, and Subaltern Resistance in World History Berghahn Books
[23] 웹사이트 Maintenance Agency for ISO 3166 Country Codes – English Country Names and Code Elements http://www.iso.org/i[...] ISO 2010-04-06
[24] 웹사이트 Báo Nhân Dân – Phiên bản tiếng Việt – Trang chủ http://www.nhandan.c[...]
[25] 간행물 Franklin Roosevelt and Indochina https://doi.org/10.2[...] 1972-09-01
[26] 문서 Pentagon Papers Vietnam Relations, 1945–1967: A Study Prepared by the Department of Defense 1969
[27] 웹사이트 Pentagon Papers https://www.archives[...] 2011-06-12
[28] 서적 The Viet-Minh Regime https://books.google[...] 2016-05-27
[29] 문서 Fall
[30] 문서 Decolonization since 1945 1955
[31] 웹사이트 Quốc hội khóa 1 và những giây phút không thể nào quên https://www.tienphon[...] 2016-01-05
[32] 서적 Nhà xuất bản Đà Nẵng 2008
[33] 서적 "War for the Asking" 1981
[34]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1991
[35] 웹사이트 Political Overview http://www.vietnamem[...] 2009-05-11
[36] 웹사이트 The State of The World's Refugees 2000 – Chapter 4: Flight from Indochina http://www.unhcr.org[...] 2007-04-06
[37] 서적 Viet-nam, the first five years: an international symposium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38] 논문 The Catholic Question in North Vietnam Routledge 2005-11
[39] 서적 Cold War Mandarin: Ngo Dinh Diem and the Origins of America's War in Vietnam, 1950–1963 Rowman & Littlefield
[40] 서적 A Viet Cong Memoir Vintage
[41] 간행물 Bắc Di Cư: Catholic Refugees from the North of Vietnam, and Their Role in the Southern Republic, 1954–1959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42] 서적 Operation Passage to Freedom: The United States Navy in Vietnam, 1954–55 Texas Tech University Press
[43] 서적 Operation Passage to Freedom: The United States Navy in Vietnam, 1954–55 Texas Tech University Press
[44]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Vietnam Routledge
[45] 문서 The Making of Vietnam https://books.google[...] 2016-06-24
[46] 문서 The National Flag of Viet Nam: Its Origin and Legitimacy http://www.dienhanhv[...] 2013-11-06
[47] 문서 Weapons and Field Gear of the North Vietnamese Army and Viet Cong https://www.amazon.c[...] 2017-12-16
[48] 간행물 Triumphs or tragedies: A new perspective on the Vietnamese revolution https://www.cambridg[...] 2024-08-26
[49] 논문 Ethnicity and multilingualism: The case of ethnic Tai in the Vietnamese state https://books.google[...] 2007
[50] 서적 The A to Z of Vietnam Scarecrow Press
[5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Peoples of the Southeast Asian Massif Scarecrow Press
[52] 서적 Vietnam: A Country Study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53] 서적 Why Vietnam Invaded Cambodia: Political Culture and the Causes of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54] 문서 Indian Foreign Policy in Cambodia, Laos and Vietnam, 1947–196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5] 문서 The Time-Honored Friendship: A History of Vietnamese-Algerian Relations (1946–2015) https://repository.u[...]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6-05-01
[56] 문서 The Search for Peace in Vietnam, 1964–1968 Texas A&M University Press
[57] 문서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Kluwer Law International
[58] 웹사이트 The History Place — Vietnam War 1945–1960 http://www.historypl[...] 2008-06-11
[59] 웹사이트 Japan and Vietnam § IV. Vietnam and Japan: Old Partners, New Partnership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of Japan 2018
[60] 서적 Japanese Relations with Vietnam, 1951-1987 SEAP Publications Cornell University Press
[61] 서적 Land Reform in China and North Vietna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62] 문서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in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1955–1956
[63] 웹사이트 North Vietnam https://alphahistory[...] 2020
[64] 간행물 Nguyễn Thị Năm and the Land Reform in North Vietnam, 1953 https://www.research[...] 2015-Winter
[65] 문서 Politburo's Directive Issued on May 4, 1953, on some Special Issues regarding Mass Mobilization 2010-Summer
[66] 문서 Ho Chi Minh's Land Reform: Mistake or Crime http://www.paulbogda[...] 2013-02-18
[67] 웹사이트 Political and Economic Crisis in North Vietnam, 1955–56 https://www.viet-stu[...] 2023-07-01
[68] 뉴스 Chủ tịch Hồ Chí Minh phê phán việc dùng nhục hình trong Cải cách Ruộng đất https://www.bbc.com/[...] 2024-10-28
[69] 웹사이트 The Myth of the bloodbath: North Vietnam's land reform reconsidered https://msuweb.montc[...] 2023-07-01
[70] 서적 Vietnam's Economic Policy Since 1975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Southeast Asian Studies 2015-07-08
[71] 서적 Paths to Development in Asia: South Korea, Vietnam, China, and Indone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2] 문서 Balazs, p. 401
[73] 문서 Moise, pp. 237–268
[74] 문서 Szalontai, p. 401
[75] 문서 Moise, pp. 155–159
[76] 간행물 "Wobbly Foundations" building co-operatives in rural Vietnam, 1955–61
[77] 간행물 "Vietnam: Decollectivization and Rice Productive Growth"
[78] 뉴스 社会主義の看板外すか ベトナムで国名変更案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4-15
[79] 웹사이트 Ho Chi Minh and the Communist Movement in Indochina, A Study in the Exploitation of Nationalism http://www.vietnam.t[...] 2014-03-04
[80] 서적 Naissance d'un État-Parti: Le Viêt Nam depuis 1945 https://www.lesindes[...] Les Indes savantes 2004
[81] 서적 The Vietnam War Reexamined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82] 서적 Disunion: Anticommunist Nationalism and the Making of the Republic of Vietnam https://uhpress.hawa[...]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22
[83]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Cessation of Hostilities in Vietnam, 20 July 1954 https://www.mtholyok[...] 2015-10-22
[84] 웹사이트 "Agreement on the Cessation of Hostilities in Vietnam, July 20, 1954 https://www.mtholyok[...] 2015-10-22
[84] 웹사이트 "Final Declaration of the Geneva Conference of the Problem of Restoring Peace in Indo-China, 21 July 1954 https://en.wikisourc[...] 2015-10-18
[85] 문서 Lời tuyên bố truyền thanh của Thủ tướng Chánh phủ ngày 16-7-1955 về hiệp định Genève và vấn đề thống nhất đất nước". "Tuyên ngôn của Chánh phủ Quốc gia Việt Nam ngày 9-8-1954 về vấn đề thống nhất lãnh thổ". In ''Con đường Chính nghĩa: Độc lập, Dân chủ'' – Quyển II. Sở Báo chí Thông tin, Phủ Tổng thống. Saigon 1956. pp. 11–13
[86] 서적 Vietnamese Communists'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Second Indochina War (1956–62)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